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83)
20230301 이산수학 5일차_수열 [이상준 경희대 교수] 오늘 이산 수학에서는 수열에 관해서 공부를 했다. 수열을 공부할 때는 뭔가 고등학교 때와 다른 새로운 점은 별로 발견되지 않았다. 등차수열, 등비수열 등 우리가 흔히들 알고 있는 수열과 정의에 대해서 공부했다. 다만, 수열이 영어로, Sequence라는 점에서 우리가 보통 DB에서 쓰는 시퀀스가 수열의 원리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 (등차수열) https://m.blog.naver.com/regenesis90/222229994833 [오라클/SQL] ALTER SEQUENCE : 시퀀스 정보 변경하기, 수열 속성 바꾸기 ALTER SEQUENCE 명령어는 SQL에 존재하는 시퀀스 객체의 정보(공차, 최대값, 최소값, 순환... blog.naver.com 그리고 알고리즘 문제에서 자주 보이는 피보나치 수열에..
[DBever] 디비버 편리한 초기 설정 모음 [ DBever ] 편리한 환경 설정(자동 완성끄기, 폰트 설정, Line 설정 등) (tistory.com) [ DBever ] 편리한 환경 설정(자동 완성끄기, 폰트 설정, Line 설정 등) [ DBever ] 편리한 환경 설정(자동 완성끄기, 폰트 설정, Line 설정 등)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DBever를 사용하다가 개인적으로 편리했던 환경설정 방법에 대해 작성하려 합니다 goddaehee.tistory.com
[SQL] 기본키는 하나여야 하는데 다중 컬럼 PK가 되는걸까 https://hoon93.tistory.com/57 2개 이상의 다중 컬럼으로 기본키 지정하기 개발 업무를 하려면 필수적으로 ERD를 보게 되는데, 그냥 어렴풋이 넘겨짚었던 개념을 이제서야 정리한다. DB테이블의 Properties 또는 ERD를 보면 아래 예제처럼 2개 이상의 칼럼이 Primary Key로 지정 hoon93.tistory.com
20230223 이산수학 4일차_다양한 함수 [이상준 경희대 교수] 함수에는 다양한 함수가 있는데 지속적으로 그래프가 올라가는 모양일 수 있고, 정체가 되는 듯한 구간이 있을 수 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함수를 단조 증가 함수,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함수를 단조 감소 함수라고 한다. 오늘은 부분 함수 부분이 흥미로웠는데 애초에 실수의 정의역과 실수의 공역을 가진 집합을 가진 상태에서 복소수의 값을 내게 하는 함수를 정의하면 그건 함수로 보지 않는다. 정의역 집합을 좀더 작은 양의 실수로(Z+) 조정하면 해결이 되는데 이를 부분 집합이라고 말한다. 프로그래밍에서 overflow라는 에러를 개발자라면 한번쯤을 경험을 했을 텐데 데이터 입력값인(정의역) 값을 조절하면서 해당 에러가 나지 않게 조정을 했던 것이 생각났다. 개발자들이 만드는 메서드(mothod = function..
20230222 이산수학 3일차_단수함수 [이상준 경희대 교수] 오늘은 단사함수와 전사함수에 대해 공부했다. 단수함수는 우리가 중학교 때 배운 일대일함수로 (on-to-on 또는 injection)이라는 영어표현을 쓴다. A = { B = { 1, -> 1, 2, -> 4, 3 -> 9, } 11 } java 개발자라면 저 injection이라는 용어를 보면 저절로 @injection이라는 어노테이션이 생각날텐데 객체 주입을 하는 행위가 일대일함수라는 수학적 개념에서 탄생한 것일까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어쨌든, 단사함수라는 건 B에서 A로의 원소가 하나인 것이다. y = x의 제곱은 단사함수가 아니고, y = x + 1은 단사함수다. 전사함수는 강의에서 교수님이 전사(全死)라고 기억하는 방법을 알려주셨는데 중학교에서 배운 일대 전사함수(전단사)의 영어적표현은 (o..
20230221 이산수학 3일차_함수의 정의 [이상준 경희대 교수] 이번 장에는 함수의 정의의 대해 공부했다. 중학생 때 배웠던 정의역(domian), 공역(codomain), 치역(range), 상(image), 원상(preimage)를 다루는 내용이다. f : A -> B a - > b 정의역(domain)은 A 공역(codomain)은 B b의 원상(preimage)는 a a의 상(image)는 b f(A) = { f(a) | a 는 A에 포함관계 } : f의 치역 여기서 중요한점은 대문자는 집합의 개념을 나타내는 것이고, 소문자는 원소의 개념을 나타내는 것이다. 함수 f는 Function의 약자다.
[책리뷰] 학문의 즐거움 IT기술블로그의 첫 서적이 학문의 즐거움이라는 인문학 자서전이라는 게 어리둥절할 수 있다. 사실 개발자에게 배움이란 끝없는 바다같고, 어느정도까지 배워야 할지 감이 오지 않는 그런 IT 세상에 갇힌 거 같다. 나에게도 지금 이 순간 그런 느낌이 올때가 있었는데 이제 고려대 대학원을 진학하여 컴공과 과목을 듣기 전에 공학수학 선행 수업을 들으려고 대학 강의계획서를 봤는데 추천도서로 이 책이 등록되어 있어서 읽게 되었다. 학문의 즐거움의 저자 히로니카 헤이스케는 수학의 최고상인 필즈상을 수상한 하버드 대학 교수로 엄청난 위인이다. 그런데도 책을 읽는 동안 그가 겪어왔던 허탈감, 좌절감, 체념과 같은 보통 사람의 면모들은 다시금 내가 마주하고 있는 배움의 어려움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한다. 그는 창조를 하려..
20230220 이산수학 2일차_집합의 항등, 집학의 컴퓨터표현 [이상준 경희대 교수] 원래 수업을 들을 때마다 필기랑 내용을 공유하면서 정리를 하려고 했는데 강의가 유료버전이 되면서 그렇게 할 수 없게 되었다. PART1.은 우리가 평소 쉽게 알고 있는 교집합, 합집합의 내용이어서 술술 넘어갔는데 PART2. 집합의 항등, 그리고 집합의 컴퓨터적인 표현을 공부하여 컴퓨터가 이해하고 있는 수학적 개념과 표현을 알게되었다. 컴퓨터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는 집합의 개념도 1,0으로만 구성하여 인식한다. A = {1,2,4} B = {2,5,6} A 합집합 B = {1,2,4,5,6} A 교집합 B = {2} 라는 집합이 있을 때, 전체집합을 먼저 생각하고, 컴퓨팅 사고로 집합을 표현하자. U = {1,2,4,5,6} A = {1,2,4, , } B = { , 2, , 5, 6} 이를 1,0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