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83)
20230312 이산수학 6일차_계수 원리와 컴퓨터 관련 예제[이상준 경희대 교수] 지난 강의에서 for문을 적용한 계수 원리를 설명했는데 *원순열 4명이 원탁에 앉았을 때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 일반적으로 고등학생 때 배운 개념으로 주변의 사람들이 같으면 같은 경우라고 보는 판단에서 4! / 4 를 하면 경우의 수의 값이 도출된다. 총 6가지. *트리 도표 트리 도표에서 4비트 문자열을 구할 때 1이 연속하지 않는 것을 구하라는 문제에서도 트리는 나뭇가지처럼 두 갈래로 뻗는 도표인데 트리를 통해서 4비트라고 하면 총 4번 양갈래로 쪼개지는 걸 의미한다. 보통 4비트는 16바이트인데 해당 문제에서는 1이 연속하지 않도록하여 8가지 경우가 나왔다.
20230312 이산수학 6일차_계수의 기본 원리[이상준 경희대 교수] 계수의 기본 원리는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경우의 수의 기본 개념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두가지 방법이 있는 상태에서 첫번째 작업을 수행할 방법을 m가지, 두번째 작업을 수행할 방법이 n가지라고 하면, 둘 중에 한가지만 수행하는 방법을 m + n 가지라고 설명한다. 이때, 두가지의 방법을 동시에(연속적으로) 해야 하는 경우를 m x n가지가 되는데 그건 곱셈법칙을 수행한다고 한다. 이상준 교수는 단순한 개념이지만 헷갈릴 때가 있으니 그림을 그려서 문제를 푸는게 도움이 된다고 했다. 예를 들어, 길이가 7인 서로다른 비트열은 총 몇가지라는 문제에서는 _ _ _ _ _ _ _ 위의 길이 7개의 공간이 있다고 하면 1 또는 0이 들어가는 경우가 2번씩 총 7개 있다보니 2의 7승으로 표현된다. 예시2) 원소 ..
20230312 이산수학 6일차_수학적 귀납법[이상준 경희대 교수] 어제 오늘 계획보다 많은 양의 이산수학 공부 진도를 나갔는데, 사실 이번 주말에 이산수학 코스(총 400분, 약 7시간)을 한꺼번에 공부하려고 했다. 대학원에서 컴퓨터 비전 수업을 듣는데 미분, 선형대수, 이산수학의 개념을 활용한 컴퓨터 비전 기초 개념에 대해 설명하는 걸 듣고 충격받아서다. ㅠ..ㅠ 하지만, 의지와 다르게 현재 SQLD자격증 공부도 병행을 하고 있다보니, 다음주 일요일 시험인 SQLD에도 시간 투자를 해야 해서 원래 공부하던 속도를 유지하면서 대학원 수업 시간에서 필요한 개념만 그때그때 공부하는 걸로 공부 방향성을 잡으려고 한다. 7시간을 풀로 들어서 해치우자니 집중도도 그렇고 이해력도 좀더 떨어질 거 같아서 천천히 공부할 예정이다. 서론이 좀 길었는데 행렬 다음으로 수학적 귀납법에 대..
20230311 이산수학 5일차_행렬 [이상준 경희대 교수] 이번 수업에서는 행렬(matrix)에 관해 배웠다. 사실 고등학교에서 이미 배웠던 내용이어서, 새로운 지식을 쌓는 느낌은 아니었지만, 행렬이라는 개념을 복기 하지 않은지 오래된 터라 수업을 들으면서 행렬의 개념을 리마인드한다고 생각하며 공부했다. 행렬의 개념은 사실 인공지능 쪽을 공부할 때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이 되는데, 실제로 내가 지금 다니고 있는 대학원 수업 중에서 컴퓨터비전을 듣는 도중 교수님이 강조하시기도 했다. matrix를 잘다뤄야 인공지능을 배우는데 큰 힘이 된다고 했는데 아직 체감은 못하고 있다. 행렬의 개념은 백터와 연관이 되어 있어서 그런거 같은데 선형대수를 공부하면서 좀 더 체감을 하지 않을까 싶다. * 행렬의 곱 A : m x k 행렬 B : k x n 행렬 두 행렬을 곱한다면, ..
[자격증 공부 SQL] SQL 기본 및 활용 *절차적 데이터 조작어와 비절차적 데이터 조작어 비절차적 데이터 조작어는 사용자가 무슨(What) 데이터를 원하는 지만을 명세함. 절차적 데이터 조작어는 어떻게(How) 데이터를 접근해야 하는지 명세 한다. 절차적 데이터 조작어로는 PL/SQL(오라클), T-SQL(SQL Server) 등이 있다. *PK 제약조건 /*1번 케이스 SQL Server 기준*/ CREATE TABLE PRODUCT ( PROD_ID VARCHAR2(10) NOT NULL, PROD_NM VARCHAR2(20) NOT NULL, REG_DT DATE NOT NULL, REGR_NO NUMBER(10) NULL ); ALTER TABLE PRODUCT ADD CONSTRAINT PRODUCT_PK PRIMARY KEY (PRO..
[자격증 공부 SQLD]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암기 *ERD와 UML 차이 1) ERD - 1976년 피터챈에 의해 표기법 만들어짐 - 일반적으로 ERD 작성 방법은 엔티티 도출 -> 엔티티 배치 -> 관계 설정 -> 관계명 기술 흐름 - 관계의 명칭은 관계 표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에 해당 - 가장 중요한 엔티티는 왼쪽 상단에서 조금 아래쪽 중앙에 배치 - 관계는 존재에 의한 관계와 행위에 의한 관계로 구분 - ERD에서는 관계를 연결할 때, 존재와 행위를 구분하지 않고 단일화된 표기법 사용 2)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의 관계 중 연관관계와 의존관계가 있고 실선과 점선의 표기로 다르게 표현 https://snnchallenge.tistory.com/m/227 [SQLD 암기]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모델링의 특징 - 현실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
[자격증 공부 SQLD] 반정규화란? https://dataonair.or.kr/db-tech-reference/d-guide/sql/?mod=document&uid=333 반정규화와 성능 1. 반정규화를 통한 성능향상 전략 가. 반정규화의 정의 반정규화(=역정규화) 용어는 조금 다르게 표현되어도 그 의미는 동일하다. 여기에서 반정규화는 ‘반(Half)’의 의미가 아닌 한자로 반대 dataonair.or.kr
[SQL] Sequence의 nextval, currval 호출 순서 https://velog.io/@dailylifecoding/postgresql-nextval-currval-calling-order [PostgreSQL] Sequence 의 nextval ➡ currval 호출 순서 시퀀스의 nextval, currval 은 왜 꼭 순서대로 호출해야 할까? velog.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