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83)
[TIL 20230607] 컴파일 과정 *컴파일 과정 컴파일(compilation)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형태인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고수준 언어 : C, C++, Java 등)를 CPU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저수준 언어 : 기계어)로 번역(변환)하는 작업이라는거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컴파일러라고 불리는 특수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일반적인 컴파일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뤄지는데 1. 소스 코드 작성: 프로그래머가 선택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소스 코드를 작성한다. 이 소스 코드는 일련의 문장과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로그램의 동작을 정의한다. 2. 전처리: 컴파일 과정이 시작되기 전에 전처리기(preprocess..
[TIL_20230531] WEB 서버 vs WAS vs DB서버 *WEB SERVER 데이터의 처리를 하는 Web Application Server이다. *WAS 정적인 HTTP 데이터 처리에 특화된 Web server에 동적인 데이터를 이용하게끔 하는 Container를 엮으면 WAS가 되며, WAS는 HTTP 를 이용하는 Application Server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미세한 차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위에 언급한 staticServer 의 경우 WAS라고 말하기 보다는 Web Server 혹은 스태틱 서버 라고 표현을 많이 하고,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는 TCP 서버 등은 WAS가 아닌 App Server 혹은 Application Server 로 표현한다. *DB서버 데이터베이스 저장만을 담당하는 서버 일반적으로 WAS 서버와 Database서버..
웹 서버(Web Server)와 WAS의 차이 *웹 서버(Web Server) 웹 서버는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정적인 컨텐츠(.html .jpeg .css 등)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에 이미지 파일(정적 컨텐츠)을 보내는 과정을 생각해보자. 이미지 파일과 같은 정적인 파일들은 웹 문서(HTML 문서)가 클라이언트로 보내질 때 함께 가는 것이 아니다. 클라이언트는 HTML 문서를 먼저 받고 그에 맞게 필요한 이미지 파일들을 다시 서버로 요청하면 그때서야 이미지 파일을 받아온다. Web Server를 통해 정적인 파일들을 Application Server까지 가지 않고 앞단에서 빠르게 보내줄 수 있다. 따라서 Web Server에서는 정적 컨텐츠만 처리하도록 기능을 분배하여 서버의 부담을 줄..
네이티브앱, 하이브리드앱, 앱/웹/모바일 정의와 장단점 *네이티브앱, 하이브리드앱, 앱/웹/모바일 정의와 장단점 애플리케이션은 고객과 정보를 교환하고 고객이 특정 작업을 완료하도록 돕는 소프트웨어다. 개발 방법과 내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이 있다. 웹 앱은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된다. 사용자는 디바이스에 웹 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반면 네이티브 앱은 특정 플랫폼이나 디바이스 유형에 맞춰 구축됩니다. 각 모바일 플랫폼에 최적화된 언어와 네이티브앱에 대해 알아야 개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디바이스에 적절한 소프트웨어 버전을 설치해야 한다. 하이브리드 앱은 웹 브라우저가 내부에 포함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 네이티브앱의 기능과 웹 앱의 기능을 짬뽕한거라고 볼 수 있다. 1. 네이티브앱(Native app) 특정 플..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1-2장 연습문제 정리 2.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2장 정리 HTTP 1.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는 어떤 종류의 프로토콜을 사용할까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여러종류가 있는데 크게 2가지 전송방식으로 나눠진다. TCP거래 방식과 UDP 거래를 하는 통신 프로토콜들이 존재한다. TCP 거래에는 대표적으로 http, smtp,ftp 프로토콜이 있고, UDP는 DSN 프로토콜이 대표적이다. 2. HTTP와 HTTPS의 차이점은? HTTPS는 HTTP에 보안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평문으로 통신하는 HTTP의 네트워크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해 나온 통신 규약이다. HTTPS는 SSL(Secure Sockets Layer) 또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암호화를 하..
소켓(Socket) 포트(Port) 차이 https://blog.naver.com/ding-dong/221389847130 소켓(Socket) 포트(Port) 뜻과 차이나도 개발자지만 소켓과 포트의 정확한 의미 차이가 헷갈릴 때가 있어서, 최근에 다시 꼼꼼하게 공부를 했...blog.naver.com+) 추가로 segment 는 출발지와 목적지의 Port뿐만아니라 전송 제어, 순서 검증제어 정보 등이 들어간 것이다.
[네트워크] 7Layers, 물데네전세표응 전체적인 구조 뽀개기 컴퓨터 공학에 가장 중요한 개념 중에 하나인 7Layers는 늘 공부를 해도 헷갈렸다. 네트워크통신에 대해 한번쯤 책을 쳐보거나 정리를 해본 사람이라면 7Layers가 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네트워크계층,전송계층,세션계층,표현계층,응용계층으로 나눠져 있다는 것 쯤은 알 수 있다. 이번에 컴퓨터 네트워크에 대해 좀 더 깊이, 그러니까 물리계층이랑 데이터링크계층이 대체 뭐냐라고 질문을 받으면 정확하게 정돈되게 말하고 싶을 정도로 공부를 하고 싶어 컴퓨터망이라는 수업을 듣는데 지금 바이블로 쓰면서 기준을 잡고 있는 책은 네트워킹에 대한 바이블로 꼽히는 책인데 해당 책에서는 7Layers에 대해 알려주면서 바로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부터 시작해서 패킷포맷, datastream, 권역ISP 등 너무 많은 정보를..
[읽어볼 거리] 고등과학원이 과학전문 웹진 과학의 지평 - AI기술과 수학적 원리 칼럼들 https://horizon.kias.re.kr/category/archives/allarticles/naturalsciences/page/2/ Natural Sciences – 페이지 2 – 과학의 지평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약관은 “고등과학원”이 제공하는 웹진페이지(이하 "서비스"라 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절차 및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약horizon.kias.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