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30216 이산수학 1일차_집합과 기호 [이상준 경희대 교수] 경희대 수학과 교수인 이상준 교수가 유튜브에 올린 공개 강의다. 아무래도 수학과 교수님이다보니 해당 이산수학이 어떻게 공학적으로 적용되는지는 나의 상상력에 맡겨서 수강중이다. 물론, 공신력있는 강의가 아니다보니, 문과전공생인 내가 차후 코세라 강의를 듣는 날이 생길때, 너무 맨바닥 헤딩을 하지 않도록 완전 기본적인 부분을 선행대수학과 함께 2주만에 대략적으로 공부해볼 계획이다. 개발자 수학공부 참고 지표(MIT EECS 트랙 기반) https://ygsj.tistory.com/6 개발자 하려면... 수학, 어디까지 해야돼? 안녕하세요, 연구소장입니다. 이번에는 수학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해요. 수학은 세상의 이치를 표현하기 위해 우리가 약속한 언어이며, 동시에 그 언어로 세상을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숫자 ygsj.tistory.com https://ygsj.tistory.com/7 지금 당장 시작하는 개발자 되기 첫걸음 (MOOC.. 그게 뭔데?)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왔죠? 저는 학기말을 핑계로 글 안 쓰고 "공부" 한다면서, 또 공부도 그다지 열심히 하지 않은 게으른 2주를 보냈답니다. 다들.. 그러잖아요? ^^ 원래 준비하던 글은 본 ygsj.tistory.com 요즘 IT업계에서 핫한 챗GPT는 무엇인가? 인공지능 언어 모델의 발전 역사 https://m.blog.naver.com/kpfjra_/223001499509 챗GPT는 무엇인가? 인공지능 언어 모델의 발전 역사 _ 자연어 처리와 트랜스포머 딥러닝 기술 이 강승식 _ 국민대 인공지능학부 교수 요즘 테크 업계에서는 챗 GPT가 화재다. 오픈 AI(OpenAI)가 20... blog.naver.com 센터 컷(Center-Cut) 거래 센터 컷(Center-Cut) 거래란? 매 월 정해진 날짜에 신용카드 대금과 각종 공과금이 자동으로 결제되는 방식을 말한다. 대량의 Data를 온라인에서 효율적으로 일괄 처리되도록 구현한 것이다. 과거 우리나라 시중은행의 코어뱅킹시스템은 일본 IBM의 CAP 환경 하의 솔루션을 들여와 시작되었다. 센터컷은 이때 나온 용어로서, 온라인 트랜잭션 처럼 1건씩 처리하면서 고유 거래 처리 (입출금 등)와 환원자료 생성 (정보 생산계 등), 후처리 로그 생성, 전표 발생 등의 단위 트랜잭션을 배치 작업처럼 수천 건 내지 수만 건을 처리하기 위한 개념이다. 물론 이때 대외 인터페이스가 수반된다면 1건의 센터컷 처리 프로그램에서 인터페이스도 함께 처리한다. 말하자면 수천 건의 입금거래를 단말에서 수행하지 않고 센터에.. 가상화 vs 에뮬레이션 차이점은? http://www.smallpc.co.kr/ab-5940-12 가상화 vs 에뮬레이션, 차이점은 대체 무엇일까? - 퓨쳐인포텍 > 고객지원 > IT NEWS 에뮬레이션(Emulation)과 가상화(Virtualization)는 비슷한 점이 많지만 운영상 차이점도 많습니다. 새로운 아키텍처에서 기존의 운영체제에 접근하려 한다면 에뮬레이션을 선호할 테지만, 반대로 가 www.smallpc.co.kr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차이는? https://kotlinworld.com/37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차이는 무엇인가? 목표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차이에 대해 이해한다. 개요 동시성 제어에서 멀티 스레드 환경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차이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 kotlinworld.com Docker 와 VM의 차이점 https://hu-nie.tistory.com/entry/Docker-%EC%99%80-VM%EC%9D%98-%EC%B0%A8%EC%9D%B4%EC%A0%90 Docker 와 VM의 차이점 개요 대학선배들과 술을 먹다가 도커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는데 "도커와 VM의 실질적인 차이가 멀까?"라는 것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해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정확히는 Contanier vs hypervisor가 맞는 hu-nie.tistory.com https://youtu.be/QrpFYnv5oNg #무어의 법칙 #무어의 법칙 1. 인터넷 경제의 3원칙 가운데 하나로, 마이크로칩의 밀도가 24개월마다 2배로 늘어난다는 법칙이다. 1965년 페어차일드(Fairchild)의 연구원으로 있던 고든 무어(Gordon Moore)가 마이크로칩의 용량이 매 18개월마다 2배가 될 것으로 예측하며 만든 법칙으로, 1975년 24개월로 수정되었다. 마이크로칩 기술의 발전속도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칩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24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법칙이다. '인터넷은 적은 노력으로도 커다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메트칼프의 법칙, '조직은 계속적으로 거래 비용이 적게 드는 쪽으로 변화한다'는 가치사슬을 지배하는 법칙과 함께 인터넷 경제3원칙으로 불린다. https://m.terms.naver.com/entry... 이전 1 ··· 6 7 8 9 10 11 12 ··· 36 다음